Firewall HA
- 이중화된 방화벽의 경우 어느 방화벽을 지나갔는지 기억해야 함
- L4/L7 스위치 사용
- L4: ip와 MAC 주소 이외의 port 번호도 봄
- L7: 패킷 내용까지 봄
- H(s_ip XOR d_ip) mod(# of firewall)
- L4/L7 스위치 사용
- 이중화된 방화벽 사이에 랜 카드를 추가하여 메모리 동기화
VRRP(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)
- 라우터 이중화
- 유사 프로토콜 ➡️ HSRP
- 라우터가 여러 대 있다고 가정
- 하나는 master/active
- 평상시 작동
- 살아있다는 advertisement 메시지를 계속 날림
- 나머지는 slave/passive
- 평상시에는 master가 동작하고 있는 지 메시지를 통해 확인
- master 고장 시에 master 역할을 하면서 동작
- 여러 slave 중에 하나를 선정해서 master로 작동시킴(election process)
- VIP: 하나의 MAC 주소에 IP 주소를 여러 개를 올릴 수 있어 서로 다른 서버인 것처럼 동작 가능하게 하는 IP
-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advertisement 메시지를 인증하는 것도 필요
- active/active 동작
HA for server clusters
- 서버의 이중화
- heartbeat를 통해 서버로 ps를 날려 살아있는 지 확인
- 서버를 몇 개까지 확보하는 것이 좋은 지
- p: probability of availability
- ex) 0.9 = 9/10 ➡️ 10시간에 1시간은 고장
- p는 높을 수록 좋음
- n: # of servers
- q_n: n개의 서버가 있을 때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제공될 확률
- 2 servers
- q_2
- = pp + p(1-p) + (1-p)p
- = 1 - (2대가 모두 죽을 확률)
- = 1 - (1-p)^2
- 가장 선호
- q_2
- 3 servers
- q_3
- = ppp + pp(1-p) + p(1-p)p + (1-p)pp + …
- = 1 - (3대가 모두 죽을 확률)
- = 1 - (1-p)^3
- q_3
- p: probability of availability
-
- n servers
- q_n = 1 - (1-p)^n
- n servers
HA network & server
Disaster Recovery(DR) Center
- main/backup data center
- 하나의 도메인 네임을 갖는 웹 서버의 IP를 여러 개 만들어서 Round Robin 방식으로 들어오는 클라이언트한테 양쪽 번갈아서 IP 주소를 return(Load Balancing)
Load balancing
- GSLB(Global Server Load Balancing)
- ping에 대한 응답 시간이 빠른 서버의 IP를 return
- DNS TTL
- 물어본 정보를 TTL 시간 동안 클라이언트가 다시 물어보지 않고 로컬 캐시에서 처리
- TTL을 24시간으로 설정하면 향후 24시간 동안 알려준 IP로만 접속
- 만약 서버가 고장나면 24시간 동안 접속X ➡️ TTL을 0으로 설정
※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윤명근 교수님의 정보보호와시스템보안 교과목을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.
728x90
반응형
'정보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보안 - DDoS (0) | 2024.12.11 |
---|---|
네트워크 보안 - 침입 탐지 시스템(Intrusion Detection System) (1) | 2024.12.11 |
네트워크 보안 - 방화벽(Firewall) (0) | 2024.12.10 |
네트워크 보안 - TCP/IP level (0) | 2024.12.10 |
네트워크 보안 - ARP level (0) | 2024.12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