변수
데이터를 저장할 때 쓰이는 '이름이 붙은 저장소'
- C, Java와 다르게 '담겨'있는 것이 아닌 '가리키는 것'
예시 1)
let x = 10
let y = x
let z = y
❌ 틀린 그림
⭕️ 맞는 그림
예시 2)
let x = 10
let y = x
let z = y
x = 20
console.log(y, z) // 결과 값은 둘 다 10
변수 선언
var, let, const의 키워드를 사용
1. var
- 초기화가 필요 없고 재할당 및 생략 가능
- 엄격 모드(strict mode)에서 에러 발생
- 혼동을 야기할 수 있음
- 권장되지 않음
var x = 1;
console.log(x); // 1
// 재정의 가능
var x = 2;
console.log(x); // 2
2. let
- 동일한 변수명으로 재정의 불가
- 선언된 코드 블록(함수, if문 등) 밖에서 접근할 수 없음
- var 키워드의 문제 방지
let x = 1;
let y = 2;
let z = x + y;
console.log(z); // 3
let x = 3; // 에러 발생, 동일한 변수명으로 재정의 불가능
// 재할당은 가능
x = 4;
y = 5;
z = x + y;
console.log(z); // 9
3. const
- 변하지 않는 값인 상수 선언
- 재할당 불가능
- 반드시 초기화 필요
- 선언된 코드 블록(함수, if문 등) 밖에서 접근할 수 없음
const x = 1;
x = 2; // 에러, 재할당 불가능
변수 이름 규칙
- 변수 이름은 알파벳(대문자, 소문자), 숫자, 언더스코어(_)로 구성
-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 불가
- 키워드(예: if, else, while 등)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 불가
- 변수 이름은 대소문자 구분
- Name ≠ name
- 관습
- 일반 변수는 첫 문자를 소문자로 쓰는 것이 보통
- 사용하지 않는 변수는 언더스코어(_)로 명명
- 클래스는 첫 문자를 대문자로 사용
- 변수 이름은 카멜 표기법을 주로 사용
🐍 스네이크 표기법
let user_name = 'js';
🐪 카멜 표기법
let userName = 'js';
※ 인프런 제주코딩베이스캠프 이호준 강사님의 강의를 듣고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.
728x90
반응형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Javascript란 (0) | 2024.12.11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