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ryptographic hash functon
- 평문의 무결성 확인 시, 해시 함수에 의한 암호문을 비교하면 됨 ➡️ 평문의 1 bit만 바껴도 암호문이 다르기 때문
- m ➡️ h(m): 빠름, h(m) ⬅️ m: 추측 불가
- 한 방향
Birthday attack(생일 공격)
Message Authentication Code(MAC)
- 무결성 체크
- CBC 모드 마지막 블록 사용
- 개인키로 서명
- hash 함수 사용
- Keyed hash function
- h(m || k)가 같은 지 확인
- Keyed hash function
One Time Password(OTP)
Time-synchronized (시간 동기화)
Hash Chain(S/Key)
- Alice만 S를 가지고 있음
- n번까지 밖에 못 씀 ➡️ 적당한 수준이 되면 재등록(다른 값으로 초기화해서 사용)
- 부인봉쇄 가능
Challenge-response
- 암호문을 보낸 사람이 Alice인지 확인
- 부인봉쇄 불가능
- Bob도 h(R || K)를 만들 수 있기 때문
※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윤명근 교수님의 정보보호와시스템보안 교과목을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.
728x90
반응형
'정보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ransport Layer Security(TLS) (1) | 2024.12.10 |
---|---|
응용 암호학(Applied Cryptography) (1) | 2024.12.10 |
공개키(Asymmetric Key) (3) | 2024.12.05 |
대칭키(Symmetric Key) (0) | 2024.12.05 |
정보 보안 (6) | 2024.12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