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symmetric key cryptography(공개키 암호)
- O(n^2) ➡️ O(n)
- 공개키 & 개인키 쌍
- 공개키로 암호화한 메시지는 개인키로, 개인키로 암호화한 메시지는 공개키로 복호화
- 계산이 느림(대칭키보다 수백배)
- 공개키와 대칭키 동시 사용
- m인 아닌 h(m)으로 시간 복잡도를 줄여 효율성 높임
ex) 웹 서핑 중 ‘인증되지 않은 페이지입니다’에서 Yes를 누르면 그 페이지에 대한 공개키가 본인의 웹 사이트 링에 등록됨
Diffie-Hellman
대칭키 k를 어떻게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는지
- 서명 X ➡️ 부인봉쇄 X
- discrete logarithm 문제로 깨지지 않음
- 키는 단일 값이 아닐 수도 있으며 p와 g는 벡터 혹은 리스트, 공개되는 값임
RSA
- 기밀성, 부인봉쇄 O
- 소인수분해의 어려움 때문에 깨지지 않음
- d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느림
※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윤명근 교수님의 정보보호와시스템보안 교과목을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.
728x90
반응형
'정보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ransport Layer Security(TLS) (1) | 2024.12.10 |
---|---|
응용 암호학(Applied Cryptography) (2) | 2024.12.10 |
해시 함수(Hash Function) (3) | 2024.12.05 |
대칭키(Symmetric Key) (0) | 2024.12.05 |
정보 보안 (7) | 2024.12.05 |